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JavaScript
- auth0
- aframe
- vuetify
- Component
- AR
- JS
- EM6
- CI/CD
- VR
- PDO
- PHP
- web
- 상태관리
- javscript
- A-Frame
- promise
- Node
- Three.js
- array
- vue
- package-lock.json
- 3d
- bootstrap
- WebXR
- vue-template-compiler
- npx
- vuex
- WebVR
- version mismatch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개발/Typescript (1)
대가는 결과를 만든다
모호하게 알고있던 타입스크립트 문법 짚고 넘어가기
1. 유니온, 교차 타입 - 실제 사용할 때는 안 햇갈리는데 개념이 가끔 햇갈릴 때가 있음 - Card | Account - 유니온 : 교집합을 생각하면 됨! 두개 이상의 타입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을 타입으로 정함 interface Card { name: string id: string pay(): void } interface Account { name: string id: string transfer(): void } // Card와 Account가 모두 가지고 있는 교집합 속성 name, id 속성이 있으면 파라미터 타입 허용한다. // (두 타입을 모두 허용한다는 의미가 되어 합집합이 아닌가? 라는 생각이 들어 햇갈릴 수 있음) const doSomething = (payment: Card..
개발/Typescript
2022. 12. 27. 22:56